2025년 CFA Level 3 합격 발표를 4월 22일 오후9시20분쯤 Verification Letter로 처음 알았습니다. (합격메일은 오후9시34분쯤 수신했습니다) 사실 당일 membership approval 메일을 받자마자, Level 3를 합격했음을 간접적으로 알았습니다.
대학교 생활과 병행하면서 무심코 시작했던 자격증 시험 준비가 2017년 Level 1 Pass에서 시작하여 3번의 3차 준비로 이어져 현재까지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Level 3가 Pathway가 세 갈래로 나뉘면서 시험결과를 기다리는 데 기존 약 6~8주의 기간에서 이번 10주간까지나 소요되면서 기억이 까마득하지만 Ethics를 위반하지 않은 한도 내에서 간략하게 시험후기를 적어봅니다.
각 과목 리뷰에 들어가기에 앞서 강조드리고 싶은 부분이 있습니다.
1) Essay 타입의 유형들은 Keyword 중심으로 정리 (3줄 이상의 답변도 너무 길다, 문법오류나 오탈자 안 중요)
2) 바뀐 Curriculum에 대해서는 무조건 숙지하고 가라 (2024년도에 없었는데, 2025년도에 새롭게 추가된 항목들은 출제가능성 높음)
3) CFA Level 3 공식은 1,2에 비해 외울 공식이 적기 때문에 암기하고 가라 (사소할지라도)
4) 추천도 높은 순: Schwesser Book 다회독 > Schwesser Quiz > Mock Exam > Schwesser Mock Exam > Mark Meldrum Mock Exam
5) 시험시작 1시간 전부터 입장준비 및 입장 시작하는 듯합니다 (제가 응시한 잠실역의 SITC서울국제공인시험센터는 그랬습니다, 중간의 Break Time 활용도 중요!) - 당연히 지각은 X
6) 요약노트 단권화 필수 (시험전, Break Time에 읽을 수 있는 용도)
저는 2024년도와 가장 많이 겹치는 Portfolio Pathway를 선택하였습니다.
공통과목 (70%)
1-1. Equity Portfolio
Analyst를 꿈꾸는 분들에게는 가장 중요한 Equity 종목, CFA Level 1/2에 나오는 내용들을 종합하여 출제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Pathway에 나옵니다.
1-2. Fixed Income Portfolio
제가 다니고 있는 회사가 채권관련이라 크게 어려움은 없었는데, 포트폴리오 비중에서 수익률이 낮은 자산군인 채권을 왜 선택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하셔야 할 겁니다. 자세한 내용은 Pathway에 나옵니다.
1-3. Asset Allocation Alternative Investments
CFA가 좋아하는 전략인 Global Macro와 Managed Futures 전략에 대해서 파악하고, 대체투자의 장점이자 강점인 unsmoothed data에 대한 파악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4. Private Wealth Management
Private Pathway를 선택했다면 제가 아마 탈락했을거라고 생각하는데, Portfolio를 선택했음에도 불구하고 출제비중이 높고 공식적용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AI도입으로 초개인화된 최근경향을 반영한것 아닐까 싶습니다.
1-5. Institutional Investors
기관투자자들의 종류가 매우 많지만 문제에 출제될 수 있는 기관투자자들의 종류가 많지 않습니다. 잘 파악하셔서 학습하시길 바랍니다.
1-6. Trading Costs & Eletronic Markets
2025년도에 새롭게 추가된 Curriculum입니다. 앞서 강조드리고 싶은 부분 2번에 해당됩니다.
1-7. Performance Measurements
공식적용과 공식적용을 하여 나온 값들을 해석하여 답을 골라내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8. Derivatives & Risk Management
생각을 많이 요구하는 항목들이 출제되는 것 같습니다, 파생평가를 많이 접해본 사람으로서도 최근경향에 맞는 수준의 문제들을 많이 출제한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ex. Covered Call의 delta ratio는?)
1-9. Ethical and Professional Standards
주관식의 문항이 출제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사례 중심으로서 암기보다는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CFA가 강조하는 고객중심의 이해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10. Capital Market Expectations
경기예측 및 전 자산군에 대한 파악에 대한 과목으로서 CFA Level 3를 학습하실 때 가장 먼저 학습하셔야 할 과목이라고 생각하고, 현업에서도 제일 많이 활용하는 과목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과목과 엮어서 문제를 낼 수 있는 가장 좋은 과목입니다.
2. 코어과목 (30%-35%)
2-1. Index Based Equity Strategies, Active Equity Investing
Passive, Active의 전략 종류 이해 및 적용이 가능해야 하고, 어떤 포트폴리오가 주어졌을 때 현재 이러한 Equity 전략을 활용하고 있다 정도는 아셔야 됩니다.
2-2. Liability Driven & Index Based Strategies, Yield Curve Strategies, Fixed Income Active Management: Credit Strategies
Capital Market Expectation에 학습한 내용들을 토대로 금리방향성이나 예측 시나리오가 주어지고, Passive나 Active로 Duration 관리나 위험관리 등을 어떻게 할지에 대해서 알고 계셔야 합니다.
2-3. Trade Strategy & Execution
공통과목인 Performance Measurements에서 나오지 않는 Implementation Shortfall 등에 대해 인지하고 계시면 좋습니다
2-4. Case Study: Institutional
Case Study가 학습하기에 좋은 예시는 아니지만 핵심내용들만 알고 계시면 좋을 것 같고, 최근경향인 ESG 관련 학습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KOSFI에서 제공하는 2가지 책 (슈웨져 책, Final Review) + 시험직전 Email Quiz 등을 전부 공부했는데, 역시 공부는 미리미리 교재가 나올 때, 바로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Level 2보다는 절대적인 학습량이 많지는 않다고 느끼실 수 있겠지만, 모든 과목이 연관성이 있어서, 이 파트는 이 과목에서도 공부했는데? 하면서 스스로 많은 시간을 고민에 할애하시는 CFA Level 3 Candidate이 되셔야 할 것 같습니다.
CFA 응시자 여러분들의 건승을 빌고, 저도 긴 시간 동안 인생공부하며 CFA를 최종합격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공부환경을 조성해주신 KOSFI에게도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rocks102/22384382266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