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닫기

로그인

배송조회장바구니
내 강의실 바로가기
교육상담안내
homeCFA시험/합격후기

서브타이틀요청

POSTCERIPT 정성스런 시험후기는 최고의 MOTIVATION입니다.
뷰페이지
제목 level 1 후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등록일 2007-06-04 조회수 3377
Ethics
지문들은 그렇게 길지 않았습니다. 한 문제를 1분 30초 정도에 볼 수 있는 정도의 양인 것 같습니다. (전 18문제-27분-을 정확히 기록하고 그 시간은 윤리에 투자하거든요. 오전 오후 다 27분 내에 끝낼 수 있는 정도의 지문 크기였습니다.)
지문의 사례들은 sample book 이나 스웨이져의 윤리 문제들에 나오는 위반일 것 같은 일반적인 사례들이 나왔습니다.
(1) 누군가에게 선물을 받고,
(2) 분석하는데 그 주식을 소유하고 있고,
(3) 계좌를 manage 할 때 자기의 친인척 account 가 들어가 있고,
(4) 직장을 떠나고 고객을 계속 만날 것인지,
(5) 프리젠테이션을 할 때 맞게 했는지
(6) 소형주 투자 회사에서 중간주(mid-cap) 을 거래한다든지
(7) 보수적인 투자자에게 covered call 을 추천한다든지
(8) 상관(supervisor) 이 부하직원의 잘못된 점을 발견했을 때 해야 하는 행동
(9) Pension fund 에서 truster 회사가 takeover 당하려 할 때 manager의 행동
…..
하지만 사례는 비슷해도 그 가운데 분석가나 메니져의 행동에 따라 위반여부 가 결정되죠.
우선 sample book 문제와 윤리문제를 많이 보셔서 사례에 익숙해지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 다음 판단은 (^^) 찍어야겠죠 ??? ?하핫 ;;; 농담입니다-

GIPS 문제는
(1) 문서 보존 기간 (code & standard 는 7년 이라고 나왔는데 GIPS 는 10년 이라고 윤리 수업시간에 들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10년으로 했는데 7년이 맞는지 10년이 맞는지 혹은 5년 인지 모르겠습니다. 아시는 분이 계시면 좋은 답변 부탁 드리겠습니다.)
(2) 최소 GIPS 에 따라 운영한 성과를 보여주는 기간
(3) GIPS 의 목적이 아닌 것
(4) GIPS 에 따라 운영되는 자산들(real estate, private equity, hedge fund, derivative) 중에 별로 상관 없는 것 ? (잘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기억이 납니다. GIPS는 한 3~4번 읽어보시면 좋은 성적이 나올 것 같습니다.

통계
극히 심각한 문제들은 안 나왔습니다. (저에겐 통계는 쉬운 과목이 아니라서 ㅡ.ㅡ)
(1) Positive skew 에 대한 특성 문제가 오전 오후 다 나왔습니다.
(2) Variance 에 대한 두 개의 값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이 나왔습니다. (F 를 쓸 것인지 chi 를 쓸것인지)
(3) Harmonic mean < geometric < Arithmetic mean 문제가 나왔습니다. (ㅠ.ㅠ 전 틀렸어요)
(4) Time, money ? weighted 에 대한 문제도 나왔습니다. (중요한 concept 같습니다. 하지만 전 공부 안 했다는 ㅠ.ㅠ)
(5) 포트폴리오 분산 구하는 문제를 간접적으로 나왔고요
(6) Standard error of the sample 의 공식이 나왔습니다. (말로 풀어 넣고 고르라는 문제였습니다. 살펴 볼 점은 분자에 standard devi 가 아니라 variance 가 나와서 분모에는 룻트를 없애야 했던 기억이 납니다. 맞나요? 아니면 저만 또 혼자 틀린건가요? ㅠ.ㅠ 아니면 제가 보기를 잘못 봤나요 ??)
(7) Sharpe ratio 와 Roy’s safety-first ratio 도 나왔습니다.
다음은 잘 생각이 안 납니다. ㅠ.ㅠ 엉엉엉

경제학
모든 곳에서 골고루 나왔습니다. 다만 제 생각에는 국제경제가 조금 미약하게 출제 되고 micro macro 다 출제 되었습니다.
(1) cross elasticity 에서 값이 나오고 대체재 성격인지 보완재 성격인지 묻는 문제
(2) 독점적 경쟁시장, pure competition 시장 들도 Yes, No 문제로 나왔습니다.
(3) Herfindahl Index 가 나오고 과점시장oligopoly 이 될려면 값이 어느정도?의 문제
(4) 화폐에 대한 excess demand 일 때 security를 팔 건지 살 건지 이자 가 오를지 아닐지 의 문제
(5) 환율 구하기 (엔/달러, 달러/유로 주시고는 엔/유로 구해주세요 문제)
(6) Ceiling price 에 대한 문제
(7) Subsidy 문제
(8) Voluntary Export 에 대해 누가(국내 수출업자 혹은 해외 수출업자 혹은 수입업자) 돈을 가져가는지 (?) 의 문제
(9) Classic 분들이 바라보시는 화폐수량설 도 나오더군요.
(10) 나머지는 fiscal, Money 정책 들에서 나올만한 (?) 것들 나왔습니다.

재무분석
많은 부분에서 골고루 다 나온 것 같습니다. 새롭게 들어온 worldwide accounting diversity 에 대한 문제가 나왔더군요. 기억 나는 것은 Harmonization에 대한 argument 가 나왔습니다.
(1) LIFO- FIFO 차이점 과 LIFO 를 FIFO 로 바꿨을 때 나타나는 영향 (reserve 가 하락 할 때 나타나는 형상) 계산 문제 등 적지 않게 나왔습니다.
(2) BEPS-Dilutive EPS 구하기
(3) 자산의 capitalization 과 expense 의 차이에 나타나는 B/S C/F 의 영향과 공사 중에 Interest 를 capitalization 한 효과,
(4) Depreciation 의 DDB 구하는 것과 units-of-production 구하는 것 그리고 같은 자산을 썼는데 한 회사는 current ratio 와 Turn over 가 많이 나왔다. 어떻게 된 영문이가 하는 문제.
(5) Lease 문제 (lessor ,lessee 입장 다 나왔습니다.)
(6) Percentage completion 과 completed contract 에 대한 차이
(7) Permanent 와 tempo difference 에 대한 해석과 DTL 혹은 DTA 의 인식 에 대해 계산문제보다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해석 정도가 나왔습니다.
(8) Cash flow 문제는 상당수 나왔는데 몰라서 다 찍었어요.( 계산했는데 답은 보기에 없더라구요. 권오상 회계사님 말대로 제가 돈을 주고 메꿨으면 좋겠어요.ㅠ.ㅠ)
(9) Free cash flow 도 한 문제 나왔습니다.
(10) Intangible 에서 depre 도 Armoti 도 안 하는 것은 무엇 이라는 문제 하나.
재무 분석은 정말 골고루 다 나오는 것 같습니다.

Equity, Bond, Derivative, Alter Invest

Bond 는 Duration 이 절정 인 것 같습니다. 대부분이 Duration 문제 입니다.
몇 Bps 떨어졌다 (혹은 올랐다) 이에 대한 채권의 가격 상승 혹은 하락 폭은?
몇% 일 때의 Reinvestment 하는 문제도 주고요
변동성에 의한 call 과 put 의 가격 변화의 해석문제
Interest risk 영향을 덜 받는 것 혹은 option-free bond 는 callable bond 에 비해 어떠한 risk 가 덜 하는냐.
TIPS 특성 에 대한 문제도 나왔습니다.(원금 조절하냐? 쿠폰 조정하냐? ^^)
Relative yield spread 구하는 것도 나왔습니다. (내가 이것을 -1 했던가? 안했던가? ㅠ.ㅠ 틀린 것 같기도 하고 ㅜ.ㅜ 앙앙앙~~)
Munis bond 를 세금후의 계산하는 것 Taxable-equivalent Yield 문제.

Derivative 는 기억이 잘 안나요. ㅠ.ㅠ
Currency, Interest, Equity 등등 이 보기에 나오고 Net 할 수 없는 것은 ? (이게 나왔나?)
한 분은 Fix 주고 한 놈은 equity index 로 주고 하는데 나중에 Index 가 떨어지고 index에 의해 받는 분이 돈을 줘야 하나 말아야 하나 문제.
Future 에서 Variation 이 얼마 됐고 Magin 얼마고 initial 얼마인데 가격이 얼마 하락 혹은 상승 했냐 의 문제.
Covered call 에서 최고 이익 구하기 문제
한 분은 Put option sell 하셨고 한 분은 buy 하셨는데 그 두 분의 break point 는?
(보기가 Sell 하신 분이 Buy 보다 작아야 한다 혹은 커야 한다 혹은 둘 다 같아야 한다)

Equity
주식 가격 책정 문제가 당연히 나오고요 g(성장률) 구하는 문제 도 2~4문제 나왔습니다.
ROA 4.5% 주시고 Total asset turnover 2 주시고 dividend 3.5 주시고 EPS 주시고 요구 수익율 만 달랑(?) 주시고 주식 가치 책정 하라는 것 주시고 (5분 동안 풀었는데 답이 안 나와서 ㅜ.ㅜ 찍었습니다. 나올 것 같은데 안 나오고 나와도 답이 보기에 없고 ㅠ.ㅠ 해서 찍었죠)
G(성장률) 이 떨어지는 경우가 어떨 때인지 (ex. Dividend 때문? F/leverage때문? 대략 이정도)
EMH concept 도 나왔구요
Price-weighted 에서 한 놈이 splits 된 후에 바로(immediately) 나타나는 변화 값 구하는것도 있었습니다.

Alter Investment
부동산 가치 평가에서 적지 않게 4문제 정도 나왔습니다. (물론 어렵웠어요. ㅠ.ㅠ)
Capitalization 으로 구하는 문제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벤쳐 기업의 수익에 대하여 몇% 의 확률에 돈을 얼마 투자하여 얼마 벌며 거기서 나오는 NPV 구하는 문제가 2 문제 나왔습니다. (오전 오후 하나씩)
Fund of Fund 의 특성 도 나왔고요 (정말 나왔나 ? 너무 많은 문제를 풀다 보니 이게 시험에 나왔는데 제가 푼 문제에 나온 건지 지금 너무 헷갈려요 죄송합니다. oTL)

Portfolio
요구 수익과 기대 수익률의 차이를 보여주고 Under 됐는지 over 됐는지 1문제 SML 선상 밑에 있는지 위에 있는지

(0/300)

등록
추천하기

다음글,이전글
다음글 prev L2
이전글 next CFA lv. 1 후기
목록

QuickMenu

  • 자주묻는 질문
  • 교육장안내
  • 방문상담예약
  • top